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시민 2만 명이 광장에서 단체로 싸이의 '강남스타일' 춤을 췄던 곳이 프랑스 파리입니다.<br> <br>한류 콘텐츠의 세계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죠.<br> <br>최근 파리 한국어 학당은 문전성시를 이루고 한국어 능력시험 응시 인원도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세계를 가다, 파리 조은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안녕하세요" <br> <br> 국제관계학을 연구하는 대학원생 자드 씨가 유창한 한국어로 설명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역사 소설을 읽을 때, 그 안에 기술된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견해를 구별해야 합니다." <br> <br>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앞두고 입에 익숙하지 않는 문장은 색깔로 구분하며 연습을 반복합니다. <br> <br>[자드 누졸로 / 국제관계학 석사] <br>"저는 프랑스 외교관이 되어서 한국에 가 주한프랑스대사관에서 일하는 것이 꿈입니다." <br> <br> 그가 파리에서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세종학당을 함께 찾았습니다. <br><br> 젊은층부터 중장년층까지 '푸른 눈'의 프랑스인들의 학구열이 뜨겁습니다. <br> <br> 헷갈리는 발음이나 단어는 그림까지 그려 익힙니다.<br><br>이른 아침인데도 다양한 연령대의 프랑스인들이 한국어 수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이 학당의 이번학기 수강생은 지난해보다 2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.<br> <br>[심보 트라오레 / 세종학당 수강생] <br>"한국 사람들은 말에 진심이 느껴져요. 표정, 몸짓도 그래요. 예를 들면 '정말?' 같은 말은 진짜 실감나요." <br><br> 프랑스에서 2005년 처음 시행된 한국어능력시험 신청자는 올해만 거의 1000명에 달합니다.<br> <br> 시험은 듣기와 읽기 각 50문항입니다. <br><br>제가 기출문제를 한번 풀어봤는데요.<br> <br>저도 다 맞히진 못했습니다. <br><br>은유나 비유 등이 섞인 소설 지문 등 어려운 문제들이 눈에 띄었습니다.<br> <br> 읽기에선 기사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인지 유추하는 문제부터, 대입 수능처럼 긴 지문을 읽어야 하는 문제까지. <br><br>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 K-팝 열풍 속에 노래 가사를 이해하고 따라 부르기 위해, 자막 없이 K-드라마를 보고 싶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. <br> <br> 아예 한국에 취업하려는 젊은층도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한국 워킹홀리데이 비자 발급 건수는 올해 사상 최다인 1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[카미 바로앙 / 한국 워킹홀리데이 예정] <br>"(한국에서) 정원을 가꾸거나 음식점 또는 신문사에서 일하려고요. 완전히 다른 업종이지만 저 만의 프로젝트랍니다." <br> <br> 이젠 파리 도심에서 한글 간판을 내세운 가게들을 찾는 것 역시 어렵지 않게 됐습니다. <br> <br>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수연 한일웅 <br>영상편집: 형새봄